• 2023. 10. 12.

    by. Inspire

    스트레스의 이해

    본능적으로 우리가 하는 행동은 스트레스를 풀어주지만, 상황이나 다른 사람의 지시에 따라 움직일 때, 우리는 스트레스를 느낍니다. 성취 압박과 미래의 부정적인 상상도 스트레스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작은 스트레스들이 쌓이면 언젠가 모든 것이 지루해지고 싫어질 때가 있죠. 마치 넘치려는 물 한 방울 때문에 컵이 넘치듯이 말이에요. 그 순간부터는 심지어 먼지 하나 흘릴 때도 짜증이 나는 것 같아요. 타인이 일을 시키거나 상황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을 때, 분노도 불러일으키기 마련이에요. 스트레스로 인해할 일이 안 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왜 이러지? 우울해. 내가 나쁜 사람인 것 같아"라고 생각해요.

    썸네일

    일반적인 증상

    이런 스트레스는 우리 몸 어딘가에 문제를 일으키기 마련이에요. 뇌 기능도 여기서 자유롭지 않습니다. 만성적인 스트레스가 뇌의 다양한 부분, 특히 전두엽 내측 아래쪽에 영향을 주면, 우리의 충동 통제, 기쁨 조절, 도덕적 판단,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게 돼요. 만성 스트레스로 이 부분의 기능이 약해지면, 우리의 충동통제 능력이 줄어들고, 화를 내고 짜증을 내는 기분이 많아지며 부정적인 생각이 많아져요. 그래서 우울증과 관련이 있는 거라고 봅니다. 이 부분은 교도소 수감자 중에서도 기능이 떨어진 사람이 많다는 연구 결과가 있어요.

    VMPFC 부위에는 세로토닌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이 작용하고, 세로토닌의 기능을 강화하는 항우울제를 스트레스성 우울증 환자에게 처방해요. 이 부위를 강화하기 위해 최근에는 경두개 자기 자극법 같은 방법도 사용돼요.

    스트레스가 계속해서 뇌에 영향을 주면, 뇌의 기능들이 올바르게 작동하지 않게 되어요. 우리의 자제력과 충동 통제 능력이 약해지면 우리의 공격성이 밖으로 드러나기 쉬워져요. 가장 가까운 사람에게 공격적으로 행동하면 문제가 생길 수 있어요. 그때부터는 우리의 공격성이 내부로 향하게 되는데, 이것이 우울증이 시작되는 단계랍니다. 그래서 짜증과 분노는 우울증의 초기 증상에 가까워요. 하나뿐인 무섭게 그게 치료될 수 있어요.

     

    관리방법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방법은 크게 세 가지가 있습니다. 먼저, 들어오는 스트레스를 줄이는 것이에요. 맡겨진 일을 미루거나, 휴가를 가거나, 안 해도 되는 일은 그만두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어요. 다만, 갑자기 모든 것을 그만두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을뿐더러 항상 좋은 선택이 아닐 수 있어요. 휴식이 필요한데 무시하는 것이나, 너무 열심히 일을 하려고 하는 것, 상사의 부당한 비난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 문제 해결이 필요해요. 스스로 가장 편한 방법을 찾는 게 중요하죠.

    두 번째로, 스트레스를 처리하는 나 자신을 강화하는 것이에요. 스스로의 사고 방식을 변화시키는 것은 정신치료로 해결할 수 있는 부분이에요. 자신의 삶과 목표를 돌아보고, 현재 어떤 일이 정말 나쁜 일인지 생각해 보는 게 도움이 될 수 있어요. 스스로를 이해하고, 타인을 이해하며 분노를 줄일 수 있어요. 상황의 맥락을 이해하고 내면의 분노를 줄이면 우울증의 초기 증상을 해결할 가능성이 크답니다.

    마지막으로, 스트레스를 배출하는 것이에요. 좋아하는 활동을 적극적으로 할 때 우리는 스트레스를 덜 느끼게 되죠. 이것은 음식을 먹는 것부터 음악 감상, 운동, 연애, 종교 등 모든 것이 포함됩니다.